teachsewol.org - 세월호교실

Example domain paragraphs

세월호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가리려는 정치적, 사회적, 법률적 과정과 더불어 꼭 필요한 것은 이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노력입니다. 세월호는 도대체 무슨 사건인가? 이 사건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우리는 이러한 질문들을 각자의 교실로 가져가 학생들과 함께 얘기해 보자고 제안합니다. 세월호교실은 대학교(또는 고등학교) 교실에서 세월호 문제를 가르치고, 배우고, 토론하려는 분들을 위한 수업계획안을 만들고 공유하는 온라인 프로젝트입니다. 전공분야나 담당과목과 상관없이 학생들과 함께 세월호에 관해 이야기하는 자리를 가지려는 분들이 세월호교실 사이트에서 토론을 위한 질문과 자료를 얻고 이를 더 발전시켜 교육 현장에서 구현해주실 것을 기대합니다.

‘세월호교실’은 여러 대학의 강의실에서 학생들을 만나는 선생님들이 모여 “도대체 세월호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물음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비극을 함께 목격하면서 우리는 학생들 앞에서 할 말을 찾지 못했고, 그러면서도 무엇이든 말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또 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학문 분야도 어떤 이론도 세월호를 온전하게 설명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다만 어지럽게 쏟아지는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여, 읽을거리와 토론거리를 찾아내고 제안할 뿐입니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던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에 대해 학생들과 같이 질문하고 이야기하자고 제안하는 것입니다. 정답은 없고 물음만 있을 뿐인 수업을 해보자는 것입니다.

1965년 미국의 미시건 대학에서는 인류학자 마샬 살린스를 포함한 여러 교수들이 베트남전을 반대하는 학생들과 함께 밤을 새워 강의하고 토론하는 ‘티치-인’(teach-in)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반전 행동에 대한 연대의 표시이자 교실 안에서 못다한 토론을 교실 밖으로 이어가려는 교육적 행위이기도 합니다. 이후 여러 대학들에서 전쟁, 환경, 여성 문제 등에 대한 ‘티치-인’이 행해져 왔습니다. 이는 학생과 선생 모두를 충격과 고민에 빠트리는 사건 앞에서 함께 질문하고, 함께 토론하고, 함께 나아가려는 시도입니다. ‘세월호교실’은 우리 선생들도 학생들과 똑같은 슬픔과 분노와 좌절을 느끼고 있으며 우리 모두 함께 길을 잃었다는 것을 고백하면서 대화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Links to teachsewol.org (1)